존리의 탈출 금융문맹/ 부동산과 주식투자/ebs 클래스e
존리의 탈출 금융문맹/부동산과 주식투자/ebs 클래스e
오늘은 경제와 관련된 좋은 프로그램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주식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는 펀드매니저 존리의 강의입니다.
ebs에서 방영하였구요 유튜브에서도 찾아볼수 있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른나라와 달리 부동산은 무조건 사야하는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미국같은 경우에 집을 사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훨씬 적다고 합니다.
.
부동산은 사야할 것인가 말아야 할 것인가?
집을 구매하는것과 매달 월세를 내면서 사는것에 대한 비교를 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월세로 사는 것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월세는 버리는 돈이지만 은행이자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집이라도 하나 있다' 라는 부자가 된 기분에 심취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집 구매시를 고민할때에 제일 중요한 것은 수학적인 계산입니다.
irrecovery cost 회수불가비용 이라는 비용에 대해서 생각하셔야 합니다.
월세를 살게 될때의 회수불가비용에 대해서 생각해 봅시다
월세가 150만원이면 일년간 1,800만원을 지불해야 합니다.
월세를 살때의 회수불가비용은 1,800만원 입니다.
반면 집을 10억원 규모의 집을 살때 내돈 5억을 투자할때 5억에 관한 기회비용을 날리게 된다
주식에 투자해서 5% 남길수 있는 경우 2500만원이 회수불가비용입니다
하지만 집을 구매하면 원금은 보장되고 주식은 보장되지 않는다
추가로 세금, 수선비 등 집앞으로 나가는 금액들이 회수불가비용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니깐 월세랑 집을 구매했을때의 회수불가비용을 비교해야한다!
비용이 많이 드는 부동산에 자산의 비중이 많이 들어가 있는 것은 위험하다.
월급의 일정 부분으로 퇴직연금, 연금 저축 펀드 등에 투자해라
주식은 위험하다고 생각하겠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으며
돈을 가장 열심히 일하게 하는 것이 주식투자이다,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다
주식은 확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정도의 재산이 모이면 돈을 떼서 부동산을 구매해도 괜찮다
미국은 집값이 다른 투자가치에 비해서 저렴하기때문에
전 재산의 약 30% 정도를 부동산에 투자하는것이 좋다
주식 투자한것으로 기업은 매년 매출액의 증대를 이룬다.
부동산은 인플레이션효과 때문에 집값이 올라간다
하지만 올라가는 속도는 주식에 비해서 현저히 낮다
high risk high return
부동산보다 주식이 많이 올라가게 되어있다
변동성을 이기게 되면 오랫동안 투자하게 되면 훨씬더 돈을 많이 벌게 되어 있다.
만약 거주용 주택이 아닌 상가를 구입하는 경우?
모든 월세를 다 합친 금액에서 세금등 비용을 제하고 상가의 적정한 가격이
cap rate가 5%보다 비싼가 저렴한가.
5%가 남지 않는다면 상가를 비싸게 구매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큰돈을 투자해서 빌딩 투자를 하였을때, 상권이 나빠졌다든가 여러가지 이유로
세입자를 구하기가 힘들면 상가를 구매했을때 낭패를 보게 된다
상가는 주택과 달리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은행에서 대출을 꺼려한다
reits 받을 월세를 배당금으로 지불하는 것을 리츠라고 한다
리츠는 여러 장점이 있다
부동산에 전체 금액이 묶이지 않고 모은 자금으로 빌딩을 구매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빌딩에 나누어 투자하게 되면
여러 부동산에 간접적으로 재산이 투자되어 있어서 안전하고 환금성도 높다
그리고 한가지 업종이 아닌 여러종류의 업종과 관련된 상가에 투자할수 있음으로서 직접투자보다는 안전하다
오늘의 요약
집을 사야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라
전재산중 80%가 부동산에 묶인것은 위험하다
신혼부부들은 주식이나 펀드를 통해서 재산을 늘리고 30%만 부동산에 투자하라
상가건물에 관심이 있다면 리츠를 노려라
100억 빌딩을 사지말고 5억짜리 reits를 20개 구매하라